요즘 많은 기업에서 메신저를 사내 전용 메신저로 대체하고 네이트온 등의 범용적인 메신저는 사용을 막아놓습니다.
인터넷 서핑도 url 패턴검사 등으로 shop 이 들어가면 차단 한다든가 하는 방법으로 많은 사이트가 차단되어있지요.
예전 눈치코치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눈치껏 사용하던 시대도 이젠 잊혀져가는 분위기입니다. ^^;
지금부터 설명하는 Proxy를 이용해서 회사 등에서 막아 놓은 프로그램 또는 웹사이트 이용을 함으로 써 발생되는 문제는 본인이 책임지셔야합니다. ㅡ..ㅡ (특히 삼성은 네트웍 관리팀에서 실시간 로그분석해서 전화올겁니다.....)
Proxy 란 대행자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proxy는 Proxy Server에게 내가 찾는 웹 페이지 Url을 전송하면 Proxy Server가 내 대신 해당 서버에서 html 등을 리턴받아 저에게 전달해 줍니다.
결과적으로 나[내 컴퓨터]는 Proxy Server와 통신만 하고 실제로 접속하는 url은 ProxyServer가 대신 통신해주지요.
그래서 ProxyServer가 회사에 차단목록에 없다면, 어느 URL이든 접근이 가능합니다.
네이트온 등의 메신저도 통신소켓이 http이냐 soket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 대행자로 경유하면 가능합니다.
이제 소개해드릴 대행자[Proxy Server]는 Tor 입니다.
Tor은 많이 알고 계시는 P2P 방식과 유사합니다.
요즘은 P2P를 토렌트를 많이 사용하던데요.
Tor은 Tor 실행 플레이어 중 설정에 중계서버로 활용하는 옵션을 선택한 사용자를 서버로 사용합니다.
보안적인 면에서는 일반 사용자를 경유하며, 오픈소스임을 감안해서 보안에 문제 없을 용도로만 사용하시길 권고합니다.
Tor은 처음 브라우저의 Http통신을 지원하지 않았지만, 현재는 지원합니다.
홈페이지: https://www.torproject.org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torproject.org/download/download.html.en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Tor Browser Bundle version]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설치형 보다는 단순 실행형을 좋아합니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압축만 풀고 어느 폴더에 관리하든 바로가기만 만들어 놓고 실행하면 되니까요.
Start Tor Browser.exe 파일은 통합형 실행파일입니다.
App에 각각의 Proxy들이 있는데, 간단하게 저 실행파일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실행하시면 창하나가 나타납니다.
부팅 후 처음 진행하거나 오랜만에 실행하면 오래걸립니다.
그리고 FireFox를 설치하신 분들은 연결완료 후 FireFox가 실행될 수 있는데, 이때 실행된 FireFox를 종료하면 Tor도 종료되니 그냥 두시는게 좋습니다.(버그인듯 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View the Network를 보시면 됩니다.
Bandwidth Graph 는 Send와 Receive에 대한 전송량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네이트온을 접속해서 채팅 메시지를 보내면 send가 추가됩니다.
상대방이 대화를 입력하면 Receive가 증가하겠죠.
이제 Tor을 실행해 놓았으면 Proxy 서버는 구동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쯤 추천한번 눌러주세요~^^/
이제 네이트온을 설정해 봅시다.
그리고 아래 나오는 메뉴중 맨 아래 환경설정을 누르면 아래 사진과 같은 팝업이 나타납니다.
환경설정을 위 사진과 같이 변경합니다.
우선 좌측 메뉴 중 연결(방화벽)을 눌러 오른쪽 화면을 부른 뒤 입력합니다.
서버는 : 127.0.0.1 또는 localhost 또는 자기 PC IP로 하셔도 됩니다.
포트는 : 9050
소캣은 SOCKS버전 4로 합니다. 버전 5도 가능하긴합니다.
확인을 누르고 이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한참을 기다리면서 답답하신 분들은 Bandwidth graph를 보면 그래도 간간히 주고받는 패킷이 있으니 기다리면 되겠구나.....하실겁니다. ^^;
그리고 간혹 네이트온을 로그인하려할때 버전이 맞지 않아 로그인을 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오곤 합니다.
이럴때에는 네이트온을 종료하고 (시스템 트레이에서 종료하세요.)
먼저 네이트온은 이렇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실 점은 이렇게 로그인하는 정보와 대화내용이 알 수 없는 Tor 서버들을 경유하게됩니다.
그러므로 중요한 대화는 하지 않으시는게 좋구요.
로그인할때 보안설정을 3단계로 압축해서 보내시는게 좋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설정을 변경해서 접속 불가능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봅시다.
이 화면을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ㅡ..ㅡ;;;;;
현재 근무 중인 곳에서 다나와를 막았습니다.
(램 값 동향을 파악하고 싶다구요.......ㅜ_ㅜ)
현재 사용중인 버전은 IE8입니다. 6,7,8,9 조금 씩 다를겁니다. ㅡㅡ;
뭐 어쨋든 상단 메뉴중에 있으니 잘 찾아보세요.......(매우 무책임;;)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신 분들은 대충 감이 오실듯 하네요.
아래의 LAN 설정을 클릭합니다.
주소 : localhost 또는 127.0.0.1 또는 자기IP 를 입력합니다.
포트는 :8118 로 입력합니다.
확인 , 확인을 눌러 설정을 종료하면........
짜잔~
그리운 웹페이지를 열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복잡한 설정을 하는 인내심을 가진 사용자라면 참을 수 있을거라 예상하는 바이지만...........
통신속도가 매우(x1000)느립니다.
다나와 메인페이지가 완료되는데 몇분이 걸릴정도네요.......
네이트온 채팅도 상대방에게 매우 느리게 가며 상대방의 대화도 느리게 도착하거나 손실되어 증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상대방에게 주기적으로 제가 해킹이 의심된다는 메시지가 뜬다더군요.
그 이유는 Tor을 이용해 해외 PC의 IP로 네이트온에 접근을 하기 때문에 외국 해커로 간주되는 부분입니다.
아무쪼록 회사에서 사용하다 걸려서 싸다구 맞으시는 일은 없으시길 바랍니다.
^,.^;